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영역 바로가기
Quick Menu
Quick Menu

공유·공감·소통의 파트너십으로 함께 성장하는 전문기관

제목, 작성일, 조회수, 내용, 항목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제목 [R&D센터] 경기도 신축학교 건축물 적정 층수 산정 연구 착수
작성일 2025-08-22 조회수 83

한국환경건축연구원 R&D센터는 경기도교육청이 발주한 신축 학교 건축물 고층화를 위한 적정 층수 산정 정책 연구용역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경기도 내 학령인구 변화와 신도시 개발로 인한 신설학교 수요 확대에 대응하고, 과밀학급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합리적 층수 기준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번 연구에서 한국환경건축연구원은 경기도 내 학령인구 및 학교 건축물 층수 현황 분석 학교 부지 내 건축 높이 제한, 건폐율 및 용적률 등 관련 법규 검토
고층화 설계 시 요구되는 설계 조건 및 공사비 영향 요인 분석 고층화에 따른 안전성 검토 학교 부지 여건과 학생 수요, 주변 도시환경을 고려한 층수 설계기준 마련 등의 핵심 과업을 수행한다.

 

그동안 학교 건축은 교부금 기준에 맞춰 초등학교는 36학급 5, ·고등학교는 24학급 4층으로 설계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최근 급격한 학령인구 변화와 도시개발 속도로 인해 이러한 획일적 기준만으로는 지역별 수요와 현실을 충분히 반영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이에 따라 지난해 117일자 KBS 보도에 따르면, 경기도교육청은 과밀학급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의 하나로 학교 건물 층수를 최대 6층까지 상향하는 개선안을 발표했다.
당시 보도에서는 광주 신현1(가칭), 오산 세교2-3(가칭), 화성 동탄12(가칭) 등이 시범 적용 대상 학교로 소개된 바 있다

 

한국환경건축연구원 R&D센터는 이번 연구를 통해 학교 건축물 고층화의 적용 가능성과 타당성을 다각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특히 건축비 상승 요인, 피난 안전성, 학생 이용 편의성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정책적
실효성과 함께 장기적 확산 가능성까지 고려한 근거를 제시할 계획이다
.

 

이번 연구는 지난해 수행된 경기도 학교 신축 효율화 방안 정책 연구용역의 연장선에 있는 후속 과제다.
R&D
센터는 이번 과제를 통해 공공교육시설의 합리적 기준 수립을 위한 연구 기반을 강화할 예정이다.

 

이선우 R&D센터장은 학교 건축물 고층화는 단순히 공간 확보 차원이 아니라, 안전과 비용, 학생 및 교직원의 만족도까지 아우르는 종합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번 연구 결과가 경기도 내 신축학교는 물론, 향후 전국적 학교 건축 기준 개선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¹ KBS 뉴스, 경기도교육청, 과밀학급 해소 위해 학교 건립 기준 6층으로 상향, 2024.11.07., 임명규 기자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8100482